안녕하세요 롯사입니다.
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터리를 로컬 혹은 원격지로 복사하거나 동기화할 때
사용하는 여러 명령어들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았고 강력한
rsync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what is rsync ?
rsync (remote sync) 의 약자로서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고
동기화하기 위한 유틸리티의 하나로 로컬 혹은 원격지로 동기화가 가능합니다.
변경된 사항만 빠르게 동기화가 가능하며 rcp, scp 보다 기본적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
사용이 가능합니다.
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설치 방법과 사용하는 구문과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rsync 설치
* rsync -qa | grep rsync (rsync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)
* yum install -y rsync (rsync 설치)
rsync 설정 파일 경로
* cd /etc/rsyncd.conf (rsync 설정 파일)
* rsync 데몬 (rsyncd) 을 구동시켜서 사용하는 방식의 예로 rsyncd.conf 에 정의된 정책에 의해서
동기화 작업이 진행됩니다.
rsync 설정 파일
* vi /etc/rsyncd.conf
rsync 데몬 및 네트워크 설정
* systemctl enable rsyncd.service (rsync 서비스 활성화)
* systemctl start rsyncd.service (rsync 서비스 시작)
*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 rsyncd (방화벽 서비스 추가)
* firewall-cmd --reload (방화벽 리로드)
rsync 사용 방법
* rsync [option ...] [source] [target] (사용 구문)
기본적인 사용 구문은 위와같으며 상황과 사용하는 옵션에 따라 몇가지로 구분해서 사용할수있습니다.
[주요 옵션]
option | |
-v | verbosity를 높이는 옵션으로 과정을 더 자세하게 출력 |
-z | compress를 주는 옵션으로 파일을 압축해서 복사 |
-h |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복사결과를 출력 |
-a | archive 모드로 -rlptgoD 옵션을 적용한것과 같이 symlink, 권한과 같은 속성을 그대로 복사하는 옵션 |
-l | symlink 형태로 복사하는 옵션 |
-p | 파일과 디렉토리들의 권한을 유지하는 옵션 |
-g | 그룹 속성을 유지하는 옵션 |
-o | 소유자의 속성을 유지하는 옵션 |
-r | 디렉토리를 복사할때 사용하는 옵션 |
[Local -> Local 파일 복사]
rsync [옵션] [파일네임] [타겟경로]
[Local -> Local 디렉토리 복사]
rsync [옵션] [디렉토리 네임] [타겟경로]
[Local -> Remote 파일 복사]
rsync [옵션] [파일네임] [계정]@[IP Address]:[타겟 경로]
[Local -> Remote 디레토리 복사]
rsync [옵션] [디렉토리 네임] [계정]@[IP Address]:[타겟 경로]
[Remote -> Local 파일 복사]
rsync [옵션] [계정]@[IP Address]:[원본 경로] [타겟 경로]
[Local -> Local 디레토리 복사] --exclude 옵션 사용하여 특정 파일 제외
rsync [옵션] --exclude '[제외대상]' [소스 경로] [타겟 경로]
rsync [옵션] --exclude ={'[제외대상]','[제외대상]'} [소스 경로] [타겟 경로]
여기까지 rsync에 대해 기본적인 설치 방법과 패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
사용하는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서 패턴은 더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.
관련 문서나 문헌 참조바랍니다.
'IT 학습 공간 ::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크론탭(crontab)설정 (0) | 2019.06.09 |
---|---|
리눅스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명령어 - 2 ( traceroute, arp ) (0) | 2019.06.01 |
리눅스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명령어 - 1 ( netstat, ping ) (0) | 2019.05.31 |
우분투 samba 설정 하기 ( ubuntu-server 16.04 LTS ) (0) | 2019.05.30 |
putty 사용법 ( xming X11 포워딩 ) (0) | 2019.05.27 |